의학 - 엉덩정강띠증후군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4:42
본문
Download : 의학 - 엉덩정강띠증후군에 대해서.hwp
반복적인 knee의 flx, ext은 lateral knee에 통증을 야기한다. 왜냐하면 빨리 달리게 되면 무릎 각도가 30도 이상이 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기 때문일것이다
증상
이학적검사
의학,엉덩정강띠증후군
설명
이학적 검사는 부상 부위 위쪽과 아래쪽 관절들을 검사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이때 최대 마찰이 일어나고 이 지점을 impngement zone 이라고 한다.
Download : 의학 - 엉덩정강띠증후군에 대해서.hwp( 22 )
liotibial band는 장골능(iliac crest)에서부터 시작해서 대퇴사두근(Quariceps)의 외측광근(vatus lateralis)의 바깥쪽을 타고 lateral femoral epicondyle의 위쪽을 지나 경골(tibia)의 gerdys tubercle에 붙는다.
lateral hip에서 딱 소리가 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소리는 femur가 ext되었다가 flx될 때 ITB가 greater trochanter위를 재빠르게 지나가면서 발생한다. 마찰은 knee가 20~30도 flx할 때 ITB가 lateral femoral epicondyle를 통과한다. hip과 knee에서 ITB와 관계되는 근육들의 검사는 변형Thomas 및 Ober 테스트로 실시한다 무릎 검사에는 촉진, patellar의 accesory motion 및 Noble 압박 테스트가 있다
ITBS에서는 마찰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환자는 대부분이 lateral knee에 통증이 있고 반복적인 활동으로 악화된다 내리막길을 달릴 때 통증이 더 심한데 이는 impingement zone에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일것이다 그런데 더 빨리 달리거나 뛰면 흔히 통증이 없다고 한다.





liotibial band는 장골능(iliac crest)에서부터 처음 해서 대퇴사두근(Quariceps)의 외측광근(vatus lateralis)의 바깥쪽을 타고 lateral femoral epicondyle의 위쪽을 지나 경골(tibia)의 gerdys tubercle에 붙는다. 검사에는 ROM, 비대칭성, 근력, lumbar pelvic 기능장애가 있다.
의학 - 엉덩정강띠증후군에 대해서
순서
ITBS 증상은 전형적으로 세 부위 lateral hip, lateral femoral epicondyle 위, Gerdys tubercle에서 나타난다. O다리, 발목의 과다한 회내전, 내리막길 혹은 실내 좁은 공간에서의 과도한 훈련 등과 같이 다리가 안쪽으로 휘거나 장경인대가 대퇴골보다 더 늘어나게 되는 모든 것들이 원인(原因)이 된다 장경인대가 타이트해도 부상의 원인(原因)이 될 수 있다.
레포트 > 의학계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