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상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3:58
본문
Download : 한국 불상의 이해.hwp
마투라 불상은 인도 전통 미술의 계승이어서 간다라 불상과는 현저한 대조를 이룬다.한국불상






한국 불상의 이해한국불상 , 한국 불상의 이해예체능레포트 ,
Download : 한국 불상의 이해.hwp( 74 )
1. 불상의 concept(개념)
불교에서 예배상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어서 마땅히 구별하여 불러야 함에도 불구하고 별로 구별하지 않고 불상이라 하면 단순하게 법당에 모셔 놓고 신자들이 예배하는 상으로만 알고 있다아 만약 종류를 구별하지 않고 `불상`이라고만 한다면 예배의 대상이 되는 여러 종류의 상을 통칭하는 말인지 부처라는 특정한 대상만을 가리키는 말인지 분명하지 않게 된다된다.
② 불상 시대
부처가 입멸한지 500여 년의 세월이 흘렀기에 부처의 모습은 희미해져갔고 불상을 만들려는 욕구가 따르게 되면서 불상이 탄생하게 되었다.
2. 불상의 기원
① 무불상 시대
석가 입멸 후 500년(기원 전후) 무렵까지로 불상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를 말한다. 코삼비국의 우다야나왕이 향나무로 석가의 모습을 조각하도록 했다는 것이 최초의 불상으로 여겨지나 신빙성이 다소 결여되어있고 인도의 서북부 간다라 지방과 북부 마투라 지방에서 불상의 시초를 찾는다. 조각은 전기에서 청회색의 간다라석 불상이 만들어지고 후기에는 쇠퇴해져가던 석조 불상 대신 소조 불상(塑造佛像)이 만들어지는데 여기세 채색이 가해져서 한층 우아해졌다. 그러므로 엄격하게는 `부처`의 상은 불상이라고 해야 마땅하겠으나 예배의 대상이 되는 여러 종류의 상을 통칭할 때에는 `불교상`이라고 해야 옳다. 쿠산왕조 이전의 인도적인 육체성이 강조…(drop)
레포트/예체능
설명
,예체능,레포트
한국 불상의 이해
한국 불상의 이해
순서
다. 불상을 만드는 것은 부처의 신성에 대한 모독이라 생각하여 충분히 불상을 만들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상을 제작하지 않았고, 탑이나 금강좌, 보리수, 법륜(法輪) 등을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간다라 미술은 불탑과 조각이 주로 있고 회화는 남아 있지 않다.
불상은 두 지방에서 거의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으리라는 추측이다. 간다라 미술은 그리스 헬레니즘, 고전 로마 미술의 influence(영향)이 크고 사실적인 표현이 두드러지는 한편 추상적이고 동양적인 표현방식으로 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