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자연environment(환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18:39
본문
Download : 북한의자연환경.hwp
- 차 례-
● 북한의 일반 現況(현황)
● 북한의 자연 現況(현황)
● 북한의 環境(환경) 정책
● 북한의 습지
● 북한의 오염 現況(현황)
● 마무리
람사협약에는 `물새`의 정이를 생태적으로 습지에 의존하고 있는 새종류로 규정하고 구체적으로 다마지목, 농병아리목, 기러기-오로목, 황새목, 두루미목, 도요목을 들고 있따 북한의 조류 3백98종 가운데 이 협약의 대상이 되는 종은 1백58종으로서 전체종의 39.7%에 해당된다된다.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순서
다.북한의자연환경 , 북한의자연환경자연과학레포트 ,
북한의자연environment(환경) 에 대해 조사한 data(資料)입니다. 물새의 대상 목에는 들어가지 않지만 물촉새, 갈새, 큰검은머리멧새등은 습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따 북한에 있는 세계적인 희귀조류의 대부분이 습지를 주요 서식지로 하고 있다, 서해안의 섬들 특히 평안북도 앞바다의 랍도, 묵이도, 소감도, 대감도와 평안남도 앞바다의 덕도 등은 세계적인 보호대상 조류인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의 번식지가 되고 있따 특히 저어새는 세계적으로 확인되고 있는 5백50여 마리 가운데 약 40마리가 이 지역에서 번식하고 있따
약 1백마리의 흰 두루미가 매년 겨울에 한반도의 중부인 황해남도 용연군, 옹진군, 개성시 판문군과 강원도 안변군,…(省略)






Download : 북한의자연환경.hwp( 42 )
북한의자연environment(환경)
북한의자연environment(환경)
,자연과학,레포트
북한의자연환경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