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설에 관한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0:17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전설에 .hwp
전설은 歷史(역사)화하여 향토애 배양의 구실을 하기도 한다. 한 암석에 어떤 흔적이 있으면, 전설에서는 처음에 옛날에 난리가 나서 장수가 지나가다가 남긴 말발자국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그 다음에는 그 장수가 누구냐 하면 임진왜란 때의 누구였다는 식으로 결론을 맺는다. 버언(C. B. Burne)이 전설을 구전歷史(역사)(口傳歷史)라고 한 것도 이런 점을 두고 한 말이다.
Ⅱ. 몸말
Download : 우리나라 전설에 .hwp( 59 )
Ⅰ. 들어가는 말
설명
전설 전설의분류 전설의특성 전설의서술양식 / 민속문학과 전통문화, 김태곤, 박이정, 1997 역대 민화 전설, 송지영, 중앙도서, 1983 우리민속과 전통문화, 정상진, 부산외국어대학출판부, 1996 전설따라 삼천리, 명문당편집부, 명문당, 1982 조선민간전설, 윤영, 한국문화사, 1994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강등학 외, 월인, 2000 한국구전설화, 임석재, 평민사, 1987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김영일, 세종대학교 출판부, 1995 한국민화전설전집, 송지영, 훈민사, 1979 한국설화 : 전설대전집, 박영준, 대양사, 1975 한국전설문학연구, 소재영, 숭전대학교출판부, 1984 ()
한국민속과 전통文化(culture) , 김영일, 세종대학교 출판부, 1995
전설 전설의분류 전설의특성(特性) 전설의서술양식 / 민속문학과 전통文化(culture) , 김태곤, 박이정, 1997
우리나라 전설에 관한 分析
2. 전설의 속성
5. 전설의 문체와 구조
전설 전설의분류 전설의특성 전설의서술양식
한국구전설화, 임석재, 평민사, 1987





()
4. 전설의 분류
전설따라 삼천리, 명문당편집부, 명문당, 1982
한국전설문학연구, 소재영, 숭전대학교출판부, 1984
1. 전설의 개념(槪念)
조선민간전설, 윤영, 한국文化(culture) 사, 1994
한국민화전설전집, 송지영, 훈민사, 1979
2) 歷史(역사)성: 전설은 스스로 歷史(역사)화 함으로써 자기를 합리화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어느 효녀 이야기가 나오면 그 주인공이 누구냐 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그 당사자를 歷史(역사)적인 인물로서 효심이 지극하였던 사람이 있으면 전설의 주인공이 바로 그 사람이라고 끄집어댄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그러한 說明(설명) 은 사실 이상으로 과장되거나 허구적인 경우가 많다. 이는 전설의 필요 요건인 증거물의 說明(설명) 에 그 일차적 기능이 있는 것에 기인된 것이라 하겠다.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강등학 외, 월인, 2000
우리민속과 전통文化(culture) , 정상진, 부산외국어대학출판부, 1996
3) 說明(설명) 성 : 이는 전설 중에서 자연물이나 인공물을 증거물로 삼은 전설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설은 산천, 촌락, 사찰, 교량 등의 형성, origin를 그 진부에 관계없이 說明(설명) 하려는 속성 이 있다. 따라서 전설 중에는 이야기로서의 짜임새를 갖추지 못하고 문학적 형상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순한 것도 많다.
2) 구조
1) 진실성 : 이야기의 연대, 사건 발생의 장소, 주인공 등이 명시되어 있고, 민중의 경험과 사건의 진실성이 표현되며, 구체적 증거물을 가지고 있는 만큼 전설은 화자나 청자가 다 진실로 믿으려고 한다.
순서
3. 전설의 서술양식
1) 문체
한국설화 : 전설대전집, 박영준, 대양사, 1975
2. 전설의 속성
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역대 민화 전설, 송지영, 중앙도서, 1983
Ⅲ. 맺는 말
4) 단순성 : 전설은 신화나 민담에 비하여 그 구조가 대체로 단순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