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來사회와 未來교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4:39
본문
Download : 2-10.hwp
100주년이라는 과거회
제3장. 세계화 지방화 시대의 한국 교회
상적인 기념이 아니라 100년 이후의 future 지향적인 교회상을 교회에 제시해 주고
과 함께 이 책을 나누고 싶다.
이다.
제4장. future 사회는 어떠한 사회인가?
제5장. future 교회 메가트렌드
가지 징조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future 에 대한 불확실성은 우리 사회에뿐 아니
라 목회에도 지대한 影響(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며 future 사회에 대한 연구의 necessity
펴는 데 대하여 불쾌감을 가지고 있었다.





제1장. 서 론
사고와 사회를 지배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future 학 공부를 계속하는
제6장. future 사회의 한국 교회
내가 future 학에 관심을 가진 것은 future 사회에 대한 진단 때문이었다. 우리 귀에 익숙한 지구촌,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 등의 용어는 이미 우리가 미
을 증대시켜 준다. the twenty-first century의 현상은 어느 날 갑자기 다가온 것이 아니라 이미 그
혀 두며, 나의 목회와 신학순례에 함께 동행하며 the twenty-first century를 함께 가야 할 동역자들
고리가 아니라 future 사건을 위한 의미이다. 이 조그마한 결실이 연동 교회의 100주년이라는 歷史의 덕임을 다시 한 번 밝
기억될 때가 있겠지만, 현재 우리가 바라보는 the twenty-first century라는 future 는 심상치 않은 갖
한국교회 미래사회와미래교회 미래사회와미래교회
한국교회 未來사회와未來교회 未來사회와未來교회 / (한국 교회 )
순서
싶었고, 이런 목회적 necessity 때문에 future 학을 공부하기 스타트하였다.
우리의 과거가 future 인 때도 있었고, 우리의 future 가 언젠가는 과거라는 시간으로
결 론
Download : 2-10.hwp( 25 )
제2장. 한국 교회의 과거와 현재
징후들이 드러나기 스타트했으며, 이러한 증후가 극대화하는 현실적 현상이 인간의
the twenty-first century에 관한 진단은 많고, 한국 교회도 40-50년 후가 되면 유럽 교회와 같이
을 준비하면서 나는 목회에 대한 고민을 하기 스타트하였다.
다.
다. 歷史란 과거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며, 여러 관점에서 future 와 the twenty-first century 준비에 관한 연구와 저술이 활발해지기를 바란
未來사회와 未來교회
졸저를 통하여 the twenty-first century를 준비하는 한국 교회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하
듯 하는 방편이나 외면의 자세가 아니라 내 집의 불처럼 눈앞의 사실로 다가온 것
쇠퇴하게 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future 를 진단하지만, 아무런 처방 없이 쇠퇴론을
래 사회의 현상 속에서 살고 있다는 증거이며, 이러한 현상들은 남의 집 불구경하
한국교회 미래사회와미래교회 미래사회와미래교회 / (한국 교회 )
내가 시무하는 연동 교회는 지난 1994년에 창립 100주년을 맞이 하였는데, 그것
설명
동안에 쇠퇴론을 반증할 수 있는 학문적 근거를 발견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