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과 같은 마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14:51
본문
Download : 거울과 같은 마음.hw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맹자는 인의가 인간 안[내]에 이미 있다고 대답하여 이러한 문제를 피해 나간다. 그러나 마음에 대해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고 해서 같은 방법을 사용하거나 같은 結論(결론)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외부로 치닫는 마음을 추스리려는 시도는 장자도 동일하다. 이러한 점에서 순자는 경중을 제대로 헤아릴 명확한 판단 기준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장자 또한 자기 안에 있는 것을 보존할 것을 주장하고, 외물에 의해 부려지는[역어물] 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심재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장자에게 마음은 맹자나 순자처럼, 자기 수양, 내적 안정이 계기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는 인의가 인간 안에 있으므로 외부에서 부가되는 것이 아니라는... , 거울과 같은 마음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거울과 같은 마음.hwp( 12 )
맹자는 인의가 인간 안[내]에 이미 있다고 대답하여 이러한 문제를 피해 나간다. 순자의 마음 理論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이러한 점이다. 그는 인의가 인간 안에 있으므로 외부에서 부가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힌다. 한편 순자는 일의 경중(경중)을 헤아려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기 자신의 수양이 중한가 아니면, 외물 추구가 더 중요한가라고 묻고, 학습을 통해 도덕을 습득하게 되면, 부귀가 비록 적더라도 만족스러운 삶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의 등에 대해 이들과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장자는 인의 같은 규범들에 대해 자기 안에 있는 것이라고 여기지 않고 있따 또한 항구불변한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drop)
거울과 같은 마음
순서
다. 도리어 이들을 명예에 집착하다가 자기 자신을 망친 사람[행명실기 [인간세]]이라고 생각한다. 맹자와 순자는 행위의 동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이 마음에 있다고 주장하거나, 마음에 가치 판단의 기준을 명확히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덕은 아무런 조건없이 사단지심으로 자연스럽게 드러나므로, 명예나 재화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장자는 이들을 외물에 부려지는[역어물] 사람으로 간주한 것이다. 그는 인의가 인간 안에 있으므로 외부에서 부가되는 것이 아니라는...
설명
맹자는 인의가 인간 안[내]에 이미 있다고 대답하여 이러한 문제를 피해 나간다. 인의 등이 마음에 내재해 있다고 주장하거나, 혹은 도덕을 내면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고 있따 장자는 유가들이 높이 평가하는 비간(비간)이나 용봉(용봉) 등에 대해 높이 평가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