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후일에서의 애증과 산유화에서의 외로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04:11
본문
Download : 먼후일에서의 애증과 산유화에서의 외로움.hwp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행복하지 못한 삶,지워지지 않은 그리움 등이 그의 시의 주조이다.
설명
그러면 흔히 논의되는 인간과 꽃의 거리감에 대해 살펴보자.‘山’에 피어 있는 꽃은
언제나 ‘나’로부터 ‘저만치’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과 친근할 수 없다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따 김동리 교수는 ‘저만치 혼자서’라는 구절을 주시하며 김소월의 시세계에 대한 상당한 연구를 행한 끝에 “소월이 저만치라고 지적한 거리는 인간과 청산과의 거리인 것이며 이 말은 다시 인간의 자연 혹은 신에 대한 향수의 거리라고도 볼 수 있따”.김동리,문학과 인간(민음사,1948),p57
그
러나 서정주는 “저만치라는 부사는 역시 휴머니스트의 정한의 냄새를 절실히 띠고 있는
말이다. 그의 ‘저만치 혼자’있다라는 위치 측정(測定) 은 타인과 세계 속에 자신을 스스로 소외시키고 人生(life)을 정면에서 대…(skip)
그러면 흔히 논의되는 인간과 꽃의 거리감에 대해 살펴보자.‘山’에 피어 있는 꽃은 언제나 ‘나’로부터 ‘저만치’ 떨어져 있기 때문... , 먼후일에서의 애증과 산유화에서의 외로움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먼후일에서의 애증과 산유화에서의 외로움.hwp( 88 )
그러면 흔히 논의되는 인간과 꽃의 거리감에 대해 살펴보자.‘山’에 피어 있는 꽃은
먼후일에서의 애증과 산유화에서의 외로움
언제나 ‘나’로부터 ‘저만치’ 떨어져 있기 때문...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사람 사이에서의 모든 감정을 그 어려운 수세면에서 지켜 오기에 힘을 다했던 소월은 이 자연물인 산 꽃에다 그것을 부어 놓고 있음을 본다..김윤식,김현, 현대문학사(민음사,1994),p148 그래서 그의 시에서는 정한이 주조를 이룬다.”.서정주,소월과 그의 시,서정주 문학전집(일지사), p171-2라고 그렇다면 왜 ‘저만치’있는 것일까? 그것은 서정주의 지적대로 그가 삶에 있어서 취한 수세의 자세에서 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