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사회의 집단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15:34
본문
Download : 일본사회의 집단주의.hwp
이미 근대화 이전부터 `日本(일본)적`인 집단주의가 日本(일본)인의 사회적 행동의 기반이 되어 있었다.
Download : 일본사회의 집단주의.hwp( 31 )
Japan사회의 집단주의
설명
일본사회의집단주의 , 일본사회의 집단주의인문사회레포트 ,
Japan사회의집단주의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들어가는 말
제 1 장 `日本(일본)사회의 집단주의`
1. 집단주의의 concept(개념)
2. `日本(일본)사회의 집단주의`의 특징
3.「간인주의」의 제안
제 2 장 구조적 원리를 통한이해
1.「장」을 강조하는 日本(일본) 사회
2.「종적」조직에 의한 特性
3.「장」과「종적관계」
제 3 장 집단구조적 측면에서의 `日本(일본)사회의 집단주의`의 특징
1. 집단의 개방성
2. 집단내의 집단의 형성
2-1)늘 집단내의 집단형성과 분열의 위기
2-2)이상적으로 기능했을 때의 비교할 수 없는 강점
3. 권한 부재의 리더쉽
3-1)리더의 역할
3-2)리더권한 부재
3-3)구조적 原因
제 4 장 집단성원의식에서 보이는 `日本(일본)사회의 집단주의`의 특징
1. 인간관계·정서적 관계 중시
1-1)선제방어적 심리
2. 집단내 서열의식의 발달
3.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 집단지향의 성격
3-1)연대적 자율주의
3-2)수동형 체질
3-3)이종배제의 논리
제 5 장 `日本(일본)사회의 집단주의` 의 예
1.日本(일본)적 민주주의 설명(explanation)
2.야구에 나타나는 집단주의
3.연하장 교환에 나타난 日本(일본)인의 특징
맺음말
2. `日本(일본)사회의 집단주의`의 특징
日本(일본)에는「집단주의」성향이 강한 것은 사실이지만 분명, 위에서 말한 서구관점에서의 집단주의와는 다르다. 부락에서 가장 미움을 사는 것은 부락을 분열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10명 중 7명이나 …(skip)
레포트/인문사회
다. 그 한 예로「니뽄부락」의 내용을 인용하면 이렇다.
<<여기서 말한 日本(일본)적인 집단행위는 키다미노루의 작은 부락에서의 참여觀察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아 어느 마을 사람은 그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다아
`그거야 다수결 쪽이 진보적일지도 모르겠지만, 부락회의에는 맞지 않아. 부락회의 뿐만 아니라 면의회에서도 그렇지만, 10명 중 7명이 찬성이라면 나머지 3명은 부락간의 교제를 위해서라도 자신의 주장을 포기하고 찬성하는 것이 예로부터 하나의 관례였지. 아무리해도 소수파가 굽히지 않을 때는 계속 설득해서 성공하면 의결하기 때문에 만장일치가 되어 버린다오`
말하자면 `부락의 의결은 전원일치로 하며, 다수결은 마음의 응어리를 남겨 부락 운영의 원활을 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채택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