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조의 부피산소전달계수(KLa)의 측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05:23
본문
Download : 포기조의 부피산소전달계수(KLa)의 측정.hwp
교반조작은 기포를 세분화하여 ... , 포기조의 부피산소전달계수(KLa)의 측정의약보건레포트 ,
포기조내의 용존산소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제적인 통기와 기계적인 교반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교반조작은 기포를 세분화하여 기액계면적을 증대시키고, 산소의 공급속도를 높인다. 교반조작은 기포를 세분화하여 ...
%EC%9D%98%20%EC%B8%A1%EC%A0%95_hwp_01.gif)
%EC%9D%98%20%EC%B8%A1%EC%A0%95_hwp_02.gif)
%EC%9D%98%20%EC%B8%A1%EC%A0%95_hwp_03.gif)
%EC%9D%98%20%EC%B8%A1%EC%A0%95_hwp_04.gif)
,의약보건,레포트
(1) 목적
설명
순서
Download : 포기조의 부피산소전달계수(KLa)의 측정.hwp( 74 )
다.
(2) 理論(이론)
배양계에서 공기중의 산소가 균체에 이동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몇 단계가 있다
①기포로부터 액중으로의 산소이동
②용해된 산소의 배지로부터 균체로의 이동
③균체에 의한 산소의 섭취
공기로부터 균체로의 산소이동의 율속으로 되어있는 것은 기포산소가 액중으로 용해되는 단계라는 것을 명확하게 하였다.
레포트/의약보건
포기조의 부피산소전달계수(KLa)의 측정
(1) 목적
포기조내의 용존산소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제적인 통기와 기계적인 교반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림에서 보여주듯이, log(C* - CL)대 시간의 도시로 KLa를 계산 할수 있다
그림. 시간에 따른 실제 용존산소 그래프
그림. 시간에 따른 ln(C*-CL)그래프
KL은 산소가 기상으로부터 액상으로 이동할 때의 저항의 역수이며, ( ) 은 산소가 저항에 거역해서 이동하기 위한 추진력(driving force)으로서 생각 할 수가 있다
발효계의 KL과 a를 측정(測定) 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기 때문에, 이 두 항을 결합시킨 KLa를 산소이동용량계수(volumetric transfer coefficient)로 부르면서 사용하고 있다
KLa의 단위는 시간의 역수로서,…(省略)
(1) 목적포기조내의 용존산소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제적인 통기와 기계적인 교반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dCL / dt = KLa(C* - CL) or ln(C* - CL) = - KLa·t + constant
여기서 KL은 산소전달 계수(㎝/h), a는 기-액 계면적(㎠/㎤), KLa는 부피산소전달계수(h-1), C*는 포화 DO농도(㎎/ℓ), CL은 용액중의 실제 산소 농도(㎎/ℓ)이다. 산소이동의 저항은 교반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해결할 수가 있다 산소는 용액에 공기를 불어 넣어 줌으로써 공급이 된다 기상으로부터 액상으로의 산소전달 속도(oxygen transfer rate)는 다음과 같다. 본test(실험) 에서는 가스처리법 중 static method에 의해 부피산소전달계수(KLa)를 측정(測定) 하고 통기 및 교반의 影響(영향)을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