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토목학/농기계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16:11
본문
Download : 농업토목학농기계학.hwp
따라서, 관개효율을 10%만큼 높이면, 그만큼의 수자원을 개발하는 것에 해당하므로 결국 효율적인 물관리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따
지금까지의 농업용수 관리기술은 도수손실량을 줄이기 위한 수로의 구조물화, 관수로화 등의 방법을 적용하거나, 윤환관개, 간단관개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따 그러나, 이와 같은 물관리 기술은 극히 일부 관개지역에 제한적으로 시행해 왔으며, 그 이유는 적절한 물관리 기술이 정착되지 못한데 기인하였다고 할 수 있따 미국에서는 관개수의 절약을 위해 써지관개법, 결핍급수법 등을 체계화하고, 고효율 관개방식의 채택, 윤환관개, 계획관개 등을 통해 관개효율의 improvement을 꾀하고 있따 그밖에도, 수세의 조정, 물은행제도 등 다양한 수요관리방법을 통해 가뭄을 극복하는 노…(drop)
순서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관개효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data(자료)는 없으나, 지역별로, 관개지역의 규모별로, 용배수조직의 종류별로, 혹은 관개방식과 물관리 수...






,기타,레포트
Download : 농업토목학농기계학.hwp( 77 )
설명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관개효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지역별로, 관개지역의 규모별로, 용배수조직의 종류별로, 혹은 관개방식과 물관리 수... , 농업토목학/농기계학기타레포트 ,
다.
레포트/기타
농업토목학/농기계학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관개효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資料)는 없으나, 지역별로, 관개지역의 규모별로, 용배수조직의 종류별로, 혹은 관개방식과 물관리 수준에 따라 60-70%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따 즉, 도수손실, 10-15%, 포장손실 15-20%내외로서 이와 같은 손실 수량은 결국 이용되지 않고 하천에 회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